[Spring] ResponseEntity 사용법
- 코딩/Spring
- 2022. 5. 6.
[Spring] ResponseEntity 사용법
1. ResponseEntity란?
- Restful API에서 return Type으로 사용되고있다.
- ResponseEntity를 사용하여 반환되는 Response의 Header의 Http Status Code를 제어 할 수 있다.
- ResponseEntity를 사용하여 반환되는 Response의 body에 Json 형태로 Return해 줄 수 있다.
2. 200 OK
3. 400 BadRequestException
4. 500 InternalServerError
'코딩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스프링 modelmapper Java Entity Dto 매핑 (0) | 2022.11.03 |
---|---|
[Spring] 싱글톤 패턴 사용 이유, 예시, 단점, 사용법 (0) | 2022.05.06 |
[Spring] 스프링 예외 처리 방법 2가지(@ExceptionHandler, @ControllerAdvice) (0) | 2022.05.05 |
필드주입과 생성자주입의 차이, 장단점(생성자 주입 vs 필드 주입) (0) | 2022.05.05 |
[SpringSecurity] JWT 구현 시 javax/xml/bind/DatatypeConverter (0) | 202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