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이클립스에서 만든 화면이고 위 화면은 크롬에서 실행시켰을때의 화면이며 보시는 바와 같이 반응형 웹이다. 소스는 보시는 바와 같다. 만들면서 간단하게 적어본 것 ************************************************************************************** -디자인을 위해서 getbootstrap 로그인 창을 만들기 위해 login.jsp 만들기 인코딩 설정을 UTF-8로 바꾼다. -최근에 가장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걸로 바꿔줌 nav 네비게이션은 하나의 웹사이트의 전반적인 구조 icon-bar 하나의 작대기 오른쪽 상단의 목록같이 생긴거 aria-expanded="false">접속하기 하나의 아이콘 같은거 method ="post" 포스트..
eclipse와 톰캣 크리고 자바 jdk를 설치 해주었다. 먼저 자바 jdk를 오라클에서 설치후 환경변수 설정을 해준다. 톰캣을 설치하고 이렇게 실행을 시켜준다. 그리고 이클립스를 다운받고 dynamic web project를 만들어준다. 가장 기본적으로 Hello World를 띄워보도록 하자. 톰캣 v8.5를 선택하고 finish를 누르면 된다. 이런식으로 Hello World!가 출력이 된다. **혹시나 포트관련 에러가뜰수 있는데 (다른프로그램이 이미 사용중일경우 뜨게됨 ex)SQL?) 포트 번호를 수정해주면된다. 저기 서버로 들어가서 포트 번호를 수정만 해주면 된다! 참고로 index란 가장 처음에 띄워지는 화면 예시화면 주소창을 보면 index.html이라고 되어있다.
https://www.wpws.kr/hangang/ 여기 사이트를 한번 파싱해 보았다. 이러한 소스가 보이며 var data1 = Utils.getWebText("https://www.wpws.kr/hangang/").split("")[1].split("")[0]; if(msg=="한강물온도"){ replier.reply(data1) } 저기 주소에서 파싱을 하고 15.9도라는 부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i부분부터 /p 까지 파싱을 하였다. if 한강물을 치게되면 data1에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요롷게 나온다...
아두이노를 이용한 층간소음 해소5 (진행중) 아두이노 -> 라즈베리파이 -> mysql -> phpmyadmin -> json -> android 위의 json형식의 데이터를 안드로이드에서 json파싱을 하였다. 위에 소스코드를 첨부 해두었다. 간단히 설명하면 manifest부분에 를 추가하고 JSON형식의 데이터가 있는 곳의 주소를 적고 getData 가지고온다. 첫번째 태그를 적고 그안의 태그들을 다 적어준다. 반복문을 이용하여 전체태그값의 데이터를 전부 가지고 온다. 아두이노를 이용한 층간소음 해소6 (완료) 아두이노 -> 라즈베리파이 -> mysql -> phpmyadmin -> json -> an 1→2→3→4→5→6순으로 진행을 하였으며, 1(아두이노) → 2(VMWARE,우분투,클라이언트) ..
아두이노를 이용한 층간소음 해소4 (진행중) 아두이노 -> 라즈베리파이 -> mysql -> phpmyadmin -> json -> android 왼쪽 위부터 -> 123 아래쪽왼쪽부터 456 아두이노 -> VMWARE (클라이언트) ->라즈베리파이 (서버) -> 서버와 MYSQL 연결 -> MYSQL과 phpmyadmin 연결 ->phpmyadmin에서 json파일으로 encode 여기까지 하였다. MYSQL에 데이터가 계속 해서 쌓이게 되며 php에서 가장 마지막 값만 뽑아서 json형식으로 만들어 지게 하였다. 코드수정후 안드로이드 디자인만 좀 하면 될 것 같다. json코드와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 쓰도록 하겠습니다~ https://alisyabob.tistory.com/55 아두이노를 이용한..
LED전광판에 0부터 10까지 출력 초록색 LED왼 쪽의 장치로 밝기를 조절할수 있으며, 밝기를 LCD로 출력한다. 밝기에 따른 servo모터제어를추가하였다. 거리에따른 LED출력 및 LCD를 통한 WELCOME문구 출력 더있는데 사진을 안찍었네....
http://pf.kakao.com/_KxexaRT URL 카카오 플러스 QR 카카오톡 플러스 봇을 만들어 보기위해 kakao i 오픈빌더를 신청했다. 어떤봇을 추가해볼지 생각해봐야겠다.
현재위치 조회후 카톡으로 전송 구글플레이에 한번 올려보았다. 단지 친구들을 만날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아서 만들어보았다. (오고있다는데 안오는 애들한테 하라고 하면 바로 위치를 알수있다.) 허접한 어플이지만 구글플레이에 올리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보았기에.... 2~3시간만 기다리면 구글플레이에 올라간다. 신기하다.... ------------------------------------------------------------------------------------- 구글플레이에 올라갔다.
내가 있는 정보처리기사 단톡방에 카카오톡 채팅 봇을 만들어 주었다. 간단하게 카카오톡, 카카오봇어플, wear or가 있고 자바스크립트만 있으면 된다. 코드는 대략 이렇게 되어있다. function getWeathetInfo(pos) { try{ var data = Utils.getWebText("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query=" + pos + "%20날씨"); data = data.replace(/]+>/g,""); data = data.split("월간")[1]; data = data.split("시간별 예보")[0]; data = data.trim(); data = data.split("\n"); var results = []; results[0] =..
지난번에 xml파싱으로 해봤기 때문에 이번에 xml파싱으로 만들어 보려고 한다. 지난번처럼 기상청의 데이터를 json으로 할려고 했는데 안보인다. 그래서 https://www.data.go.kr/ 이곳의 데이터를 json으로 파싱 해보려 한다. 먼저 회원가입을 했다. 동네예보정보조회서비스 검색을 하고 OPEN API의 동네예보정보조희서비스로 들어간다. 활용신청을 하고 마이페이지 -> 승인된 동네예보 서비스 조회로 들어가서 일반 인증키 발급을 한다. 아래에 동네예보 조회를 실행 누르고 위에서 발급받은 인증키를 서비스 키에 넣고 미리보기를 한다. 1시간이 소요되므로 자러가야겠다. https://alisyabob.tistory.com/category/%EC%BD%94%EB%94%A9/%ED%94%84%E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