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 1. 아두이노에서 데이터를 받는다. 2. 받은 데이터를 PC(클라이언트)로 보낸다. (클라이언트생성) 3. PC(클라이언트)로 온 데이터를 라즈베리파이 (서버)로 보낸다. (서버생성) 4. 라즈베리파이 (서버)에서 DB를 구축한다. (Putty) 생각 - 대충 봣을땐 엄청 쉬워 보인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오픈소스가 있다 그걸 잘 수정 하면 데이터 송수신을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 라즈베리파이에서 DB를 어떻게 구축 할것인지는 생각해봐야 할것같다. 대략적인 그림 설명 위 사이트에 보시면 설명을 보실 수 있으며 아래에 제가 소켓 통신을 이용 하여 만든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https://alisyabob.tistory.com/category/%EC%BD%94%EB%94%A9/%ED%..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이란 - 소켓을 기반으로 프로그래밍을 하기 때문에 소켓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들의 데이터 송수신 프로그램의 작성을 의미함 전화를 이용한 설명 (1) 전화 받는 소켓의 생성 ex) int socket (~~); - 소켓은 전화기로 생각하면 쉽다. - " socket함수 호출로 생성한다. (2) 전화번호의 부여 ex) int bind (~~); - 소켓의 주소할당 및 연결 - " 주소 정보는 IP와 PORT번호로 구성된다. (3) 전화기 연결 ex) int listen(~~); - 연결요청이 가능한 상태의 소켓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상태) - 전화를 거는 소켓은 연결 요청 가능 소켓이 될 필요가 없다. (걸려오는 전화를 받는 소켓에서 필요한 상태이므로)..
정보 사회가 진전됨에 따라 사회가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라 편리해지고 있다.(홈뱅킹) 그러나 인터넷을 활용 한것들이라 그런지 정보보호에 문제가 있다. (해킹 (정보훼손,변조,유출)) 정보 보호의 목표 (1) 기밀성 오직 인가된 사람,프로세스, 시스템만이 알필요성에 근거하여 시스템에 접근해야 한다! 허가되지 않은 정보유출을 예방해야한다. (비밀 엄수) 보안 기술 - 접근제어, 암호화 등 (2) 무결성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 되는 정보의 내용이 불법적으로 생성,변경,삭제가 안되도록 보호해야하는 성질 보안기술 - 접근제어, 메시지 인증 변경 되었거나, 변경위험이 있을시 변경을 탐지하여 복구할수있는 침임방지, 백업 등이 필요하다. (3) 가용성 지체 없이 작동하여야 하고, 합법적 사용자가 서비스 거부를 당하..